본문 바로가기메뉴 바로가기

같이기부 모금함 상세

1년 후, 절반의 숲이 사라집니다

환경운동연합
목표 금액10,000,000원 목표
모금함 상태모금종료
11,415명이 참여했습니다
  • 직접기부 (308명)2,404,700
  • 참여기부 (11,107명)1,113,700
  • 환경의날♡ 카카오기부금500,000
  • 공유, 응원, 댓글로 참여하면 카카오가 기부합니다.
  • 기부금은 100% 단체에 전달됩니다.
환경운동연합

프로젝트팀

30년간 생명을 지켜온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환경단체 환경운동연합은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 ‘공해추방운동청년협의회’가 1988년 통합하여 출범한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을 직접적인 뿌리로 합니다. 공추련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높아진 시민들의 사회참여 기운에 힘입어 대중적인 환경운동을 열었습니다. 공추련의 창립 직후 부산, 광주, 목포 등 전국에서 회사원, 주부, 학생, 전문가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환경단체들이 하나, 둘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를 계기로 한층 시야가 깊어지고 넓어진 한국의 환경운동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게 됩니다. 피해자 중심의 반공해운동에서 시민으로 폭을 넓힌 환경운동으로 발전하며, 지역에 국한된 활동에서 전국적 연대 나아가 지구환경 보전을 추구하기 위한 연합체를 결성하게 된 것입니다. 이에 1993년 4월 2일 공추련 등 전국 8개의 환경단체들(서울 공해추방운동연합, 부산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진주 남강을지키는시민모임, 광주 환경운동시민연합, 대구 공해추방운동협의회, 울산 공해추방운동연합, 마산·창원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목포녹색연구회)이 통합되어 전국 조직인 ‘환경운동연합’이 태어났습니다. 창립 이후 지금까지 현장성, 대중성, 전문성에 기반 한 활동으로 아시아 최대의 환경단체로 성장했습니다.

같이 기부해요

모금함 소식 본문

소중한 모금액 이렇게 사용합니다.
11,415명이

4,018,400원을 모았어요.

프로젝트팀 환경운동연합2020. 09. 02
공원에서 봄볕쬐는 평범한 일상, 지켜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환경운동연합입니다. 공원에서 가족, 친구들과 따뜻한 봄볕을 쬐던 일상이 그리운 날들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이 어려워진 탓도 있지만, 이 공원들이 어쩌면 우리 곁에서 곧 사라질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오랫동안 공원으로 조성되지 않은 곳들을 공원에서 해제하는 '도시공원일몰제'가 7월 1일 부터 시행됩니다. 그동안 환경운동연합은 도시공원들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도시공원이 지켜지길 바라는 시민 7천 명의 서명을 가지고, 2019년 한해동안 200여회 가까이 공무원과 지방의회 의원, 국회의원들을 만났습니다. 이러한 활동의 성과로 서울시를 비롯해 광주, 대전, 인천, 대구 등의 지자체가 해제될 도시공원을 매입하거나 정책을 새롭게 제정해 공원 지키기에 나섰습니다. 그리고 정부도 도시공원 중 소유자가 국가나 지자체인 곳에 대한 시행을 10년 후로 연기하고, 지자체 지원 예산을 책정하는 등 전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같이가치를 통해 모금해주신 활동비로 2019년 말에는 국회의원들에게 시민들이 직접 입법 청원 메일을 2만여통 가까이 보내 도시공원 부지 중 국공유지는 10년 실효 유예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콘텐츠 이미지 모음
Slide 1 of 2
슬라이드1 / 2
도시공원일몰제대응 정의당 협약식

도시공원일몰제대응 정의당 협약식

천안시 감사청구 기자회견

천안시 감사청구 기자회견

결과적으로 7월 1일, 우려했던 것 보다는 많은 공원들이 해제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해제가 연기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자체가 매입 약속을 지키고 개발을 최소화 한 보전조치를 이룰지, 정부가 남은 공원들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보전 정책을 만들수 있을지는 더 지켜봐야 합니다. 북한산, 관악산 등 큰 공원들은 지방정부들이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이름 조차 없이 '1-55호', '근린공원1'이라고 불리는 우리 곁의 작은 공원들은 7월 1일 부터 공원 목록에서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자연의 중요성,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더더욱 절박해졌습니다. 구글이 4월 발표한 ‘공동체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한국인의 공원 방문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1월 3일부터 2월 6일까지의 평균치보다 약 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시에서 시민들이 마음 편히 숨 쉴 수 있는 공간이 공원임을 새삼 확인된 것입니다. 코로나 사태가 끝나고, ‘왜 공원에 놀러가지 못하냐’는 아이들의 질문에 무엇이라고 답할 수 있을까요? 언제까지 뉴욕의 센트럴파크, 런던의 하이드파크를 부러워해야할까요? 정부가, 또 지자체가 더 많은 도시공원을 조성하도록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콘텐츠 이미지 모음
Slide 1 of 2
슬라이드1 / 2
공원일몰제 대상지인 천안 일봉산

공원일몰제 대상지인 천안 일봉산

천안 일봉산 개발 반대 주민투표 발대식

천안 일봉산 개발 반대 주민투표 발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