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메뉴 바로가기

같이기부 모금함 상세

아이를 키우는 미혼모, 우리는 엄마입니다.

사단법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목표 금액7,000,000원 목표
모금함 상태모금종료
7,156명이 참여했습니다
  • 직접기부 (372명)6,300,900
  • 참여기부 (6,784명)699,100
  • 공유, 응원, 댓글로 참여하면 카카오가 기부합니다.
  • 기부금은 100% 단체에 전달됩니다.
사단법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프로젝트팀

사단법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는 2009년 미혼모와 그 자녀의 인권을 위하여 미혼모 당사자들이 모여 만들어졌습니다. 미혼모 가족의 법적, 사회적 권익 향상을 위하여 미혼모 당사자들이 만든 단체입니다. 21세기 대한민국은 다양한 가족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혼모 가족은 인식 및 제도적 문제로 권리를 침해당하고 있습니다. 사단법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는 미혼모의 사회적 편견과 인식을 개선하고, 우리 아이들과 엄마의 권익을 지키기 위하여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같이 기부해요

모금함 스토리 본문

다 같은 엄마 아닌가요?

엄마 혼자 아이를 양육한다는 건 정말 힘들지만, 많은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매우 보람되고 행복한 일입니다. ‘미혼모’라는 말을 꺼내는 일은 엄마에게조차 힘든 일입니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미혼모라는 말을 불편해하니까요. 조심스럽게 당당히 미혼모임을 밝혔을 때 취업에서 불이익을 받거나 때로는 성적인 농담을 건네받기도 하고, 무시하는 눈빛을 종종 경험합니다. 겨우 취업을 하고 당당했던 엄마의 의지는 점점 소극적 태도로 변해갑니다. 일할 기회조차 쉽게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엄마는 그저 묵묵히 버티고 감내할 뿐입니다.

본문에 들어간 이미지입니다.
미혼모가 되어 일하면 회사의 이미지가 훼손됩니다?

협회 회원 중 한 엄마는 자신이 근무하던 유치원에서 미혼모가 되기로 선택했다고 하니 관계자에게 이러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원생 학부모들이 선생님이 미혼모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유치원에 대한 신뢰와 이미지가 훼손될 거다.” 잘못된 편견 속에서 어쩔 수 없이 퇴사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해당 사례 외에도 근무지에서 미혼모에 대한 편견을 경험하고 경력이 단절된 엄마들이 많습니다. 생명을 책임지는 것에는 가족 관계의 형태가 결격 사유가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결혼하지 않은 엄마 미혼모입니다", 협회제작, 2021

미혼모라서 어려워지는 경제 상황

미혼모라는 이유로 대한민국의 엄마라는 역할에 있어 경제적 활동에 제한받는 미혼모들은 기초생활수급이거나 최저 시급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협회 회원 중 한 엄마는 '자녀를 2명 양육하며 식당보조 면접에서 미혼모라는 이유로 근로를 반대'하여 취업을 하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엄마는 면접에서 “주말 근무에 근로를 할 때 자녀를 누가 봐주냐"라는 질문에 미혼모라 답변하니, "근로를 할 수 없다”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습니다. 자녀와 엄마가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회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한국미혼모가족협회는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을 기다립니다.

사회의 편견과 맞서 아이를 키우기 위하여 홀로 버텨보는 엄마들에게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 엄마들에게는 아이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취업교육, 심리 치료 등 자립을 위한 다양한 재원 지원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우리 엄마들이 지원과 지지를 받기 위하여 여러분 앞에 나서서 외치고자 합니다. 하나의 책으로 토크콘서트, 하나의 목소리를 위한 캠페인 등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엄마들이 외치는 소리는 하나입니다. 아이를 책임지고 사랑으로 키우는 엄마들, 그리고 그 울타리 안에서 희망을 품고 자라날 아이들이 더 마음껏 웃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이 모금을 통하여 인식 개선과 더불어 차별을 받고 있는 엄마들에게 작은 위로와 희망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한국 사회에서의의 편견과 맞서 싸우고 버티고 있는 엄마들이 더욱 힘을 내고 살아갈 수 있도록 여러분의 많은 격려와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모금함 상세정보

본 모금은 재단법인 바보의나눔에서 사업 검토 및 기부금 집행, 사후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부스 및 천막, 테이블 외 대여비(마이크, 음향기기 등) 200,000원 * 5회1,000,000
  • 판넬 제작 개당 50,000원 * 6개 * 1회300,000
  • 판촉물 제작 1,000원 * 1,000개 * 1회1,000,000
  • 활동가 지원비 100,000원 * 3명 * 12회3,600,000
  • 리플렛 제작비 440,000원 * 2회880,000
  • 현수막 및 배너 제작 110,000원 * 2회220,000
목표 금액7,000,000

목표금액 미달 시 캠페인 및 휴먼라이브러리 횟수를 줄이고 협력기관과의 소통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